맨위로가기

그러먼 S-2 트래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러먼 S-2 트래커는 1950년대 초 미국에서 개발된 함상 대잠 초계기이다. 1기로 잠수함 탐색과 공격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1952년 첫 비행에 성공하여 1954년부터 실전 배치되었다. S-2는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발되었으며, 미국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1970년대에 S-2 트래커를 도입하여 운용했으나, 2001년에 퇴역하고 P-3C 오라이언 해상초계기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러먼 항공기 - 그루먼 F8F 베어캣
    그루먼 F8F 베어캣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 해군을 위해 개발된 단발 전투기로, F4F 와일드캣의 후속 기종이며, 종전 후 미 해군과 해병대의 주력 전투기로 운용되었고 뛰어난 곡예비행 성능으로 블루 엔젤스 곡예 비행대의 기종으로도 사용되었다.
  • 그러먼 항공기 - 그루먼 F-14 톰캣
    그루먼 F-14 톰캣은 미국의 그루먼사에서 제작한 함대 방공 전투기이자 장거리 요격기로, 가변익, 강력한 레이더, 장거리 미사일 운용 능력 등을 통해 냉전 시대 소련의 위협에 대응했으며 미국 해군과 이란 공군에서 운용되었다.
  • 195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는 미국 보잉사가 개발한 장거리 전략 폭격기로, 냉전 시기 핵 억지력의 핵심 전력이었으며, 현재까지 개량을 거쳐 2050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다.
  • 195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투폴레프 Tu-16
    투폴레프 설계국에서 개발한 Tu-16은 미국의 전략 폭격기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쌍발 제트 엔진 중거리 폭격기로, 다양한 파생형이 생산되어 여러 용도로 활용되었으며, 소련 외 국가에도 수출되었고 중국에서는 시안 H-6 폭격기로 라이선스 생산되었다.
  • 함재기 - 그러먼 F6F 헬캣
    그러먼 F6F 헬캣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의 주력 함상 전투기로, 견고한 구조와 강력한 엔진을 바탕으로 뛰어난 운동 성능과 방어력을 갖춰 일본 항공 전력 격멸에 기여하고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높은 격추 대 손실 비율을 기록하며 태평양 전쟁에서 맹활약, 수많은 에이스를 배출했다.
  • 함재기 - 호커 허리케인
    호커 허리케인은 1930년대 호커 항공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활약하며 독일 공군에 맞서 싸운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장착한 단엽 전투기로, 다양한 파생형으로 전투기, 요격기, 전투폭격기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그러먼 S-2 트래커
개요
S-2A 제29대잠비행대(VS-29) 소속기
S-2A 제29대잠비행대(VS-29) 소속기
종류대잠 초계기
분류함상대잠초계기
제조사그루먼
개발
최초 비행일1952년 12월 4일
도입일1954년 2월
생산 대수1,284기
운용 현황일부 국가에서 현역
운용
주요 운용국 (과거)미국 해군
기타 운용국 (과거)캐나다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
중화민국 공군
기타 운용국 (현재)아르헨티나 해군

2. 개발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잠수함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잠수함전 능력의 중요성이 커졌으나, 기존 방식에는 한계가 있었다. 당시 미국 해군의 주력 함재기였던 그루먼 AF 가디언은 잠수함 탐지 장비를 탑재한 '헌터'와 공격용 무장을 실은 '킬러' 항공기가 한 조를 이루어 작전하는 '헌터-킬러' 방식을 사용했다.[2] 이 방식은 두 대의 항공기가 필요해 항공모함 갑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운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1] 또한, 육상 기지에서 발진하는 대잠초계기는 작전 반경에 제약이 있어 원거리의 적 잠수함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항공모함대잠수함전 능력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한 대로 탐색과 공격 임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대잠초계기 개발이 요구되었다. 미국 해군은 빠른 속도보다는 긴 항속거리와 다양한 무장 및 탐지 장비를 탑재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 신형 기체를 원했다.

이에 따라 1950년 6월 30일, 미국 해군은 그루먼사의 설계안(모델 G-89)을 채택하고, 시제기인 '''XS2F-1''' 2기와 초기 양산형인 '''S2F-1''' 15기의 제작 계약을 동시에 체결하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1] 이 신형 항공기는 기존의 그루먼 AF 가디언 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 1. 한국전쟁과 대잠초계기의 필요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레이다 기술이 발전했지만, 1940년대 후반의 레이다는 크기가 커서 함재기에 탑재하기 어려웠다. 당시 미국 해군이 운용하던 그루먼 AF 가디언 대잠초계기는 레이다 탑재기(헌터)와 공격기(킬러)가 한 조를 이루어 작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항공모함 운용에 부담을 주었기에, 한 대로 탐지와 공격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대잠초계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미국 해군1950년 1월, 단독으로 잠수함 탐색과 공격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소형 함재기 개발을 요구했다. 여러 항공기 제작사의 제안 중 그루먼사의 설계안(G-89)이 채택되어, 같은 해 10월 시제기(XS2F-1) 제작 계약이 체결되었다.

시제기 개발이 진행되던 중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공산 진영의 잠수함 위협이 현실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특히 한반도 해역에서의 작전 능력이 중요해지면서, 새로운 대잠초계기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이러한 상황은 S-2 트래커의 개발을 가속화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어, 시제기는 1952년 12월 4일 성공적으로 첫 비행을 마쳤다. 이후 양산형인 S2F-1(1962년 명칭 통일로 S-2로 변경)은 1954년 2월부터 제26대잠비행대(VS-26)를 시작으로 실전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3. 설계 및 특징

S-2 트래커는 미국 해군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된 대잠수함전(ASW)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항공모함 탑재용 대잠초계기이다. 기존의 육상 기지 초계기로는 작전 범위에 한계가 있었고, 그루먼 AF 가디언처럼 탐지기와 공격기를 별도로 운용하는 '헌터-킬러(Hunter-Killer)' 방식은 비효율적이라는 판단 아래, 탐지와 공격 능력을 하나의 기체에 통합하는 새로운 개념이 요구되었다.[1][2] 이에 따라 그루먼사는 속도보다는 긴 항속거리와 다양한 탐지 장비 및 무장 탑재 능력에 중점을 둔 설계안(모델 G-89)을 제시했고, 1950년 6월 30일 미 해군은 시제기 XS2F-1 2기와 생산기 S2F-1 15기의 제작 계약을 동시에 체결했다.

한국 전쟁 발발과 냉전 심화로 개발은 빠르게 진행되어, 1952년 12월 4일 첫 비행에 성공했다. 1954년 2월에는 VS-26 비행대대를 시작으로 실전 배치가 이루어졌으며, 기존 AF 가디언을 대체해 나갔다. 1962년 미군의 군용기 명칭 통일 정책에 따라 제식 명칭이 S-2로 변경되었다.

S-2 트래커는 단거리 이착륙 성능, 접이식 날개, 강력한 탐지 장비, 다양한 무장 탑재 능력 등을 갖춘 다목적 대잠초계기로 설계되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엔진 및 비행 성능: 2기의 라이트 R-1820-82WA 왕복 엔진을 탑재하여 안정적인 비행 성능을 확보했다. 항공모함 운용을 위해 단거리 이착륙 성능이 중요했으며, 이를 위해 특수한 플랩, 슬롯, 스포일러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엔진 1기가 정지해도 비행이 가능하도록 큰 방향타(러더)를 갖추었다.
  • 탐지 장비: 기체 하부의 접이식 레이다, 꼬리 부분의 연장식 자기 이상 탐지기(MAD), 다수의 소노부이, 초기 모델의 전자전 지원 조치(ESM) 장비 및 스니퍼, 야간 식별용 탐조등 등 다양한 탐지 수단을 통합하여 잠수함 탐색 능력을 극대화했다.[5][6][7]
  • 무장: 동체 내부 폭탄창에 어뢰폭뢰를 탑재하고, 날개 아래 하드포인트에 로켓 발사기, 추가 어뢰, 폭뢰 등을 장착하여 잠수함 공격 능력을 확보했다. 일부 모델은 핵심부 탑재도 가능했다.[4]
  • 항모 운용 편의성: 함상기로서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익을 위로 접을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으며, 착함을 위한 어레스팅 후크가 장착되었다.
    우현 날개 뿌리 및 접이 메커니즘 (참고: 날개 제거)
    아르헨티나 S-2T 터보 트래커가 격납고에서 날개를 접은 모습.
  • 승무원: 조종사 2명과 탐지 장비 운용사 2명, 총 4명이 탑승했다.


S-2 트래커는 그 성능을 인정받아 미 해군뿐만 아니라 여러 동맹국에 판매되거나 면허 생산되었다. 그루먼사에서 총 1,185대, 캐나다의 드 하빌랜드 캐나다에서 CS2F라는 명칭으로 99대가 생산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터키, 대만, 아르헨티나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미군 내에서는 "Stoof"(S-two-F)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3] S-2의 설계를 기반으로 항공모함 탑재 수송기인 그루먼 C-1 트레이더와 조기경보기인 그루먼 E-1 트레이서가 개발되기도 했다.
1963년 1월 22일, 이륙을 준비 중인 USS 렉싱턴(CV-16)의 좌현 사출기 위에 있는 미 해군 S-2 ''트래커''


'''S-2 트래커 제원'''
항목제원
길이13.26m
22.12m
높이5.33m
날개 면적45.06m2
자체 중량8310kg
적재 중량10630kg
최대 이륙 중량11860kg
최대 속도450 km/h
순항 속도240 km/h
상승 한도6700m
작전 반경 (항속 거리)2170km
체공 시간9시간
승조원4명 (조종사 2명, 탐지 장비 통제사 2명)
엔진라이트 R-1820-82WA 왕복 엔진 2발
내부 무장어뢰 (Mk. 41, Mk. 43, Mk. 34), 폭뢰 (Mk. 54), 기뢰 (내부 무장창 2개소)
외부 무장어뢰, 폭뢰, 로켓 (주익 하부 무장 파일런 6개소)


3. 1. 기체 구조

주익은 고익 배치에 직선 날개 형태를 채택했으며, 날개 아래에는 3개의 하드 포인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드 포인트에는 어뢰, 폭뢰, 2.75인치 로켓탄 등을 장착할 수 있다. 엔진은 큰 직경의 별형 왕복 엔진을 사용하며, 좌우 주익에 각각 1기씩 탑재된다. 엔진이 장착된 나셀 뒷부분에는 각각 8개의 소노부이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동체는 비교적 굵고 짧은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꼬리 부분에는 접어 넣을 수 있는 자기 탐지기(MAD) 붐이 장착되어 있다. 기체 하부에는 접이식 APS-38 수상 수색 레이더가 탑재되어 있고, 동체 내부의 폭탄창에는 어뢰폭뢰를 실을 수 있다. 초기 모델의 기체 상부에는 전자전(EW) 장비용 안테나가 있었으나, S-2D형 이후 모델에서는 제거되었다. 오른쪽 주익에는 야간 작전을 위한 탐조등이 장착되어 있다.

항공모함에서 운용하는 함상기이므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주익을 위로 접을 수 있는 구조이며, 착함을 위한 Y자 형태의 어레스팅 후크가 동체 뒷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원래 코멘스먼트 베이급 항공모함 탑재를 목표로 개발되어 기체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낮은 고도와 느린 속도에서도 비행 자세가 안정적이어서 대잠 초계 임무에 적합했다. 하지만 작은 기체 내부에 많은 장비를 집약하다 보니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승무원들의 거주 환경은 좋지 않았다는 평가가 있다. 정작 트래커가 배치될 무렵에는 목표했던 코멘스먼트 베이급 항공모함이 퇴역하면서 다소 아이러니한 상황이 되었다.

4. 파생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된 대잠전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미 해군은 탐지(Hunter)와 공격(Killer) 임무를 한 기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항공모함 기반 대잠초계기 개발을 추진했다. 기존에는 그루먼 AF 가디언처럼 탐지기와 공격기를 별도로 운용해야 했으나, 이는 운용상의 제약이 컸다. 1950년 그루먼사의 설계안(G-89)이 채택되어 시제기 개발이 시작되었고, 한국 전쟁의 영향으로 개발이 가속화되어 1952년 첫 비행에 성공했다.

초기 양산형은 레이다, 자기 이상 탐지기(MAD), 소노부이 등 당시의 첨단 탐지 장비와 함께 폭탄, 어뢰, 로켓 등 다양한 무장을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54년부터 실전 부대에 배치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다양한 임무 요구에 맞춰 개량되거나 특화된 여러 파생형이 등장했다. 주요 파생형들은 향상된 탐지 장비 탑재, 핵폭뢰 운용 능력 부여, 동체 및 연료 용량 확대, 전자 장비 현대화 등의 개량을 거쳤다. 또한, 대잠 임무 외에도 훈련기, 수송기, 사진 정찰기, 전자전 훈련기 등 다양한 특수 임무 파생형도 개발되었다.

1962년 미군의 군용기 명칭 통일 정책에 따라 기존의 'S2F' 형식 명칭은 'S-2'로 변경되었다. (예: S2F-1 → S-2A, S2F-3S → S-2E)

군에서 퇴역한 S-2 트래커 기체 중 다수는 민간 부문으로 넘어가 소방 항공기 등으로 개조되어 현재까지도 운용되고 있다. 특히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한 개조형(S-2T 등)이 널리 사용된다.

한편, S-2 트래커의 기본 설계를 바탕으로 동체 등을 대폭 개량하여 항공모함 탑재 수송기(COD)인 그루먼 C-1 트레이더와 조기경보기인 그루먼 E-1 트레이서가 개발되기도 했다.

4. 1. 군용 파생형

1954년의 초기 S2F-1


VC-3의 US-2C.


1976년의 마지막 S-2G와 S-3A 대체기


그러먼 S-2 트래커는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여러 파생형으로 개발되었다. 1962년 미군의 항공기 명칭 통일 정책에 따라 기존의 S2F 형식 명칭은 S-2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 '''XS2F-1''': 1,450 hp R-1820-76WA 엔진을 장착한 대잠전 항공기 프로토타입 2기.
  • '''YS2F-1''': 개발용으로 제작된 초기 생산 항공기 15대의 명칭. 1962년에 '''YS-2A'''로 재지정되었다.
  • '''S2F-1''': 1,525 hp R-1820-82WA 엔진 2기를 장착한 초기 양산형. 총 740대가 제작되었으며, 1962년에 '''S-2A'''로 재지정되었다. 해상자위대는 이 기종 60기를 MAP(군사 무상 원조)로 공여받아 '오오타카'라는 애칭으로 운용했다.
  • '''S2F-1T''': S2F-1의 훈련기 개조형. 1962년에 '''TS-2A'''로 재지정되었다.
  • '''S2F-1U''': S2F-1의 다목적 개조형. 1962년에 '''US-2A'''로 재지정되었다.
  • '''S2F-1S''': 줄리(Julie)/제저벨(Jezebel) 탐지 장비를 갖춘 S2F-1 개조형. 1962년에 '''S-2B'''로 재지정되었다. 생존 기체는 대잠전 장비를 제거하고 '''US-2B'''로 개조되었다.
  • '''S2F-1S1''': 업데이트된 줄리/제저벨 장비를 장착한 S2F-1S. 1962년에 '''S-2F'''로 재지정되었다.
  • '''S2F-2''': 핵폭뢰 탑재를 위해 폭탄창을 좌현 쪽으로 비대칭 확장하고 꼬리 날개를 약간 확대한 모델. 총 77대가 제작되었으며, 대부분 1962년에 '''S-2C'''로 재지정되었다.
  • '''S2F-2P''': S2F-2의 사진 정찰 개조형. 1962년에 '''RS-2C'''로 재지정되었다.
  • '''S2F-2U''': S2F-2/S-2C의 다목적 개조형. 1962년에 '''US-2C'''로 재지정되었다. 일부는 표적 예인기로 사용되었다.
  • '''S2F-3''': 전방 동체, 꼬리 날개, 연료 용량을 확대하고, 엔진 나셀에 32개의 소노부이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개량한 모델. 1962년에 '''S-2D'''로 재지정되었으며, 총 100대가 제작되었다.
  • '''S2F-3S''': S2F-3와 동일하지만 줄리/제저벨 장비를 장착한 모델. 1962년에 '''S-2E'''로 재지정되었으며, 총 252대가 제작되었다.
  • '''YS-2A''': 1962년에 재지정된 YS2F-1.
  • '''S-2A''': 1962년에 재지정된 S2F-1.
  • '''TS-2A''': 1962년에 재지정된 S2F-1T 훈련기 버전 및 S-2A에서 개조된 207대.
  • '''US-2A''': 경수송기 또는 표적 예인기로 개조된 S-2A. 총 51대가 개조되었다.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는 이 기종을 항공모함 탑재 수송기(COD)로 운용했다.[10] 해상자위대에서는 인원 수송용 다목적기로 2기가 S2F-C로 개수되었다.
  • '''S-2B''': 1962년에 재지정된 S2F-1S.
  • '''US-2B''': S-2A 및 S-2B의 다목적 및 표적 예인기 개조형. 대부분의 S-2B와 66대의 S-2A가 개조되었다.
  • '''S-2C''': 1962년에 재지정된 S2F-2.
  • '''RS-2C''': 1962년에 재지정된 S2F-2P 사진 정찰 버전.
  • '''US-2C''': 1962년에 재지정된 S2F-2U 다목적 버전.
  • '''S-2D''': 1962년에 재지정된 S2F-3.
  • '''YAS-2D/AS-2D''': Operation Shed Light 하에 개발될 예정이었던 독자적 야간 공격 임무 수행을 위한 항공기였으나 생산된 것은 없다.
  • '''ES-2D''': S-2D의 전자전 훈련기 개조형.
  • '''US-2S''': S-2D의 다목적 개조형.
  • '''S-2E''': 1962년에 재지정된 S2F-3S.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는 1978년에 6대를 인수했다.
  • '''S-2F''': 1962년에 재지정된 S2F-1S1.
  • '''US-2F''': S-2F의 수송기 개조형. 해상자위대에서는 표적 견인기로 4기가 S2F-U로 개수되었다.
  • '''S-2G''': S-2E의 전자 장비를 업데이트한 개조형. 주로 AN/AQA-7 DIFAR 소노부이 처리기와 AN/ARR-75 소노부이 수신기를 장착했다.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는 1990년대에 3대를 인수했다.
  • '''CS2F-1''': 캐나다에서 드 하빌랜드 캐나다가 S2F-1을 기반으로 생산한 초기 대잠전 항공기. 총 42대 제작.[28]
  • '''CS2F-2''': 리튼 인더스트리스(Litton Industries)의 전술 항법 장비를 갖춘 CS2F-1의 개량형. 드 하빌랜드 캐나다에서 총 57대 제작.[28]
  • '''CS2F-3''': 추가 전자 장비로 업그레이드된 43대의 CS2F-2 항공기에 주어진 새로운 지정.
  • '''CP-121''': 1968년 캐나다 군 통합 이후 모든 CS2F-1, -2, -3 항공기에 부여된 새로운 명칭.

4. 2. 민간 파생형

CAL FIRE S-2F3AT 터빈 트래커가 2007년 노스 화재 진압 중 폭스 비행장, 캘리포니아주 랭커스터에 착륙하는 모습


S-2 트래커는 군에서 퇴역한 후 민간 부문, 특히 소방 항공기로 개조되어 널리 활용되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애버츠퍼드에 위치한 코네어 항공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퇴역한 캐나다 및 미국 트래커를 인수하여 소방 항공기로 개조했다. 이 개조 기체는 '''파이어캣(Firecat)'''으로 불리며, 기존의 폭탄창과 동체 중앙 부분을 제거하고 4개의 문이 달린 방화 탱크를 장착했다. 파이어캣은 기존 피스톤 엔진을 유지한 모델과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한 터보 파이어캣(Turbo Firecat) 두 가지 형태로 제작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캘리포니아 산림 및 소방청(CAL FIRE)(과거 CDF)은 1970년대부터 퇴역한 군용 S-2 항공기를 소방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동안 S-2A를 기반으로 한 항공 유조선(air tanker) 편대를 구축했으며, 1987년부터는 기존 피스톤 엔진을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하는 개조 작업을 시작했다. 2005년까지 CAL FIRE가 보유한 모든 트래커는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S-2T 모델로 개조되었다. 이 중 상당수는 마쉬 항공에서 개조한 S-2F3AT 터보 트래커로, 가렛 TPE331 엔진 두 개를 장착했다.[44] CAL FIRE는 총 22대의 S-2F3AT를 운용했다.

터키에서도 트래커를 소방 항공기로 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39] 1990년대 후반, 터키 항공우주 산업(TAI)은 퇴역한 터키 해군의 S-2E 기체를 활용하여 소방용으로 개조하는 방안을 연구했다.[41][42] Honeywell TPE331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할 경우, 대당 약 300만달러의 비용으로 최소 20년의 추가 운용 수명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43] TAI는 S-2T 터보 트래커 업그레이드 키트를 주문하여 S-2E 한 대를 개조했으며,[43] 이 프로토타입 기체는 1999년 안탈리아 산불 진화와 1999년 이즈미트 지진 당시 튀프라쉬 정유 공장 화재 진압에 투입되기도 했다.[40] 최대 15대의 개조가 계획되었으나, 2002년 명확하지 않은 이유로 프로젝트는 취소되었다.[43] 개조된 단 한 대의 기체는 2010년대 중반까지 TAI에서 신기술 시험용으로 사용되었다.[40]

주요 민간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명칭설명
S-2T 터보 트래커민간 개조형. 주로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하고 현대화된 모델.
S-2AT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민간 소방 항공기 개조형.
S-2ET민간 개조형.
마쉬 항공 S-2F3AT 터보 트래커가렛 TPE331 터보프롭 엔진 2기를 장착한 개조형.[44] CAL FIRE에서 22대 운용.
코네어 파이어캣(Conair Firecat) / 터보 파이어캣캐나다 코네어 항공에서 개조한 1인승 소방 항공기. 피스톤 엔진(파이어캣) 및 터보프롭 엔진(터보 파이어캣) 버전 존재.


5. 운용 국가

S-2 트래커는 개발국인 미국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군사 및 민간용으로 운용되었다. 일부 국가는 자체적으로 개량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군사용'''



'''민간용'''

프랑스 Sécurité Civile 소속 S-2FT 트래커가 소방 임무를 수행하는 모습


많은 트래커가 군에서 퇴역한 후 민간에서 화재 진압용 항공기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었다.

5. 1. 군사적 운용

S-2 트래커는 여러 국가의 군대에서 대잠수함 초계 및 공격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 해군에서는 1954년부터 운용을 시작하여 1976년까지 사용했으며, 이후 제트 엔진을 탑재한 록히드 S-3 바이킹으로 대체되었다. 마지막 S-2G 운용 비행대대인 VS-37은 1976년에 해체되었고, 마지막 해군 S-2는 1976년 8월 29일에 퇴역했다.[8] 트래커의 훈련용 기종인 TS-2A는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 해군 항공기지의 제4 훈련 비행대대(TRAWING 4) 산하 제27 훈련 비행대대(VT-27), 제28 훈련 비행대대(VT-28), 제31 훈련 비행대대(VT-31)에서 해군 조종사들의 다중 엔진 훈련 과정에 사용되었다. 일부 기체는 미국 해병대에서도 운용되었다.

1976년 트래커의 TS-2A 조종사 훈련 버전


캐나다에서는 1954년, 드 해빌랜드 캐나다(DHC)가 왕립 캐나다 해군(RCN)의 노후된 그루먼 TBF 어벤저를 대체하기 위해 면허 생산 계약을 체결하여 총 99대의 트래커(CS2F)를 제작했다. 첫 캐나다 생산 기체는 1956년 5월 31일에 비행했으며, 1957년부터 항공모함 HMCS ''Bonaventure''와 육상 기지에서 운용되었다.[23] 캐나다 트래커는 ''Bonaventure''의 격납고 크기에 맞춰 초기 모델(길이 약 12.80m[24])로 제작되었다.[25] 1960년부터 1961년 사이에는 CS2F-1 17대가 네덜란드 해군으로 이전되었다. 1964년부터 45대의 CS2F-2가 개량된 전자 장비와 센서를 장착한 CS2F-3로 업그레이드되었고, 2대의 CS2F-1은 수송기로 개조되었다.[26] 1968년 캐나다군 통합 이후 CS2F-1, -2, -3는 각각 CP-121 Mk.1, Mk. 2, Mk. 3로 재지정되었다. ''Bonaventure''가 1970년 퇴역한 후 모든 캐나다 트래커는 육상 기지로 이전되었으며, 1974년1981년 사이에 대부분 보관 상태로 전환되었다. 남은 기체들은 대잠 장비를 제거하고 어업 보호 및 해상 순찰 임무에 투입되어 1990년까지 운용되었다.[28][27]

캐나다군 VU-33 소속 CP-121 트래커가 1982년 CFB 무스 조에서 택싱하는 동안 날개를 접고 있다.


일본해상자위대1957년부터 1959년까지 미국의 군사원조계획(MAP)을 통해 총 60대의 S2F-1을 도입하여 1984년까지 운용했다.[30] 해상자위대에서는 "'''아오타카'''(あおたか, 푸른 매)"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도입된 기체 중 4대는 표적 예인기(S2F-U), 2대는 다목적 수송기(S2F-C)로 개조되었다. 초기에는 가노야 항공기지와 도쿠시마 항공기지 등에서 운용되었으며, 최성기에는 4개의 대잠 항공대가 편성되어 하치노헤 항공기지, 시모후사 항공기지, 아쓰기 항공기지 등에도 배치되었다. S2F-1은 P2V-7과 함께 1969년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했으며, 후계 기종으로는 P-3 오라이온이 도입되었다.[31] S2F-1의 퇴역과 함께 운용 부대였던 VS(소형 초계기) 비행대대들은 해체되었다. 마지막 S2F-1은 1983년 3월 30일 제적되었다.

해상자위대 S2F-1, 가노야 해상기지


일본 해상자위대 S2F-C


가노야 항공기지 사료관에 전시된 S2F-1 대잠 초계기(4131호기)


대한민국에서는 최초 대한민국 공군1970년 5월부터 1971년 12월까지 8대를 도입하여 운용하다가, 1976년 1월 대한민국 해군으로 이관했다. 이후 해군은 1976년 8월부터 1982년까지 23대를 추가 도입하여 총 31대를 운용했으며, 2001년까지 해상 초계 및 대잠수함 공격 임무에 투입했다.

아르헨티나 해군1962년부터 S-2A를 시작으로 S-2E, S-2G를 도입하여 운용했다. 일부 기체는 엔진을 터보프롭으로 교체한 S-2T로 개량되어 현재도 운용 중이며, ARA ''Veinticinco de Mayo'' 등의 항공모함에서 운용되었다.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는 브라질 해군의 항공모함 NAe ''São Paulo''에서도 S-2T 운용 훈련을 실시했다.

NAe ''상파울루''에서 운용되는 아르헨티나 S2T 트래커


호주 해군은 1967년부터 1984년까지 트래커를 운용했으며, 항공모함 HMAS ''Melbourne''의 핵심 대잠 전력으로 활용했다.[9]

호주 트래커가 항공모함 HMAS ''멜버른''에 착륙하기 위한 최종 접근 모습


1980년 HMAS ''멜버른''에 착륙하기 직전의 트래커 ''848''


브라질에서는 브라질 공군과 브라질 해군이 트래커를 운용했다. 해군에서는 항공모함 NAeL ''Minas Gerais''에서 P-16A/E (S-2A/E) 및 S-2T를 운용했으며, 1990년대에 퇴역했다.

이탈리아 공군1957년부터 1978년까지 45대의 S2F-1 트래커를 운용했다.[48]

네덜란드 해군은 1960년부터 캐나다에서 이전받은 S2F-1을 포함하여 S-2N이라는 명칭으로 17기를 운용했다. 이 기체들은 항공모함 HNLMS ''Karel Doorman''에서 운용되었으며, 이후 육상 기지로 전환되었고 일부는 터키에 매각되었다.

페루 해군은 1975년부터 1989년까지 총 12대의 S-2E와 4대의 S-2G를 도입하여 해군 항공대 제12 비행대대(Escuadrón Aeronaval N°12|에스쿠아드론 아에로나발 누메로 도세es)에서 운용했다.

페루 해군 S-2E 트래커


중화민국 (대만)에서는 중화민국 공군1967년 S-2A 운용을 시작했으며, 1976년에는 S-2E를 도입했다. S-2A는 이후 표적기로 개조되어 1979년부터 1992년까지 순차적으로 퇴역했다. 1986년에는 손실 보충을 위해 S-2G를 추가로 구매했으며, 같은 해부터 기존 S-2E/G 기체를 가렛/허니웰 TPE-331-15AW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하고 임무 장비를 현대화하는 S-2T 개조 프로그램을 진행했다.[35] 개조된 27대의 S-2T는 1999년 중화민국 해군으로 이관되었다가 2013년 다시 공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P-3C 오라이온 도입에 따라 순차적으로 퇴역하여 2017년 12월 1일 최종 퇴역했다.

태국 해군은 1967년부터 트래커를 운용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에 퇴역시켰다.[49]

터키 해군은 1971년부터 미국의 MAP 프로그램을 통해 S-2E를 도입했으며, 이후 네덜란드에서 퇴역한 S-2N(S-2A) 기체를 추가로 도입하여 운용했다. 기체 노후화로 인한 사고 발생 후 1994년에 퇴역했다.[36][31]

이스탄불 항공 박물관에 전시된 S-2E 트래커


우루과이 해군은 1965년 4월 10일 S-2A 3대를 인수하며 운용을 시작했다. 1982년1983년에 걸쳐 S-2G 3대를 추가 도입했다. 2004년 9월 기준으로 비행 가능한 기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37]

우루과이 해군 항공대의 그루먼 S-2G 트래커 (G-121)


베네수엘라 해군은 1970년대부터 트래커를 운용했다.

5. 2. 민간 운용

미해군 등에서 퇴역한 많은 트래커는 민간에서 소방 항공기 등으로 활용되었다. 일부 기체는 터보프롭 엔진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캘리포니아 산림 및 화재 보호국(CAL FIRE)의 S-2T가 2006년 쏘우투스 복합 화재에서 소방 물질을 투하하고 있다

  • '''미국''': 캘리포니아 삼림소방청(캘리포니아 산림 및 화재 보호국, CAL FIRE)은 1970년대부터 S-2의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으며, 퇴역한 S-2A를 인수하여 항공 소방 임무에 투입했다. 1987년부터는 기존의 피스톤 엔진을 터보프롭 엔진으로 교체하는 개조 작업을 시작하여, 2005년까지 모든 항공 유조선 함대를 S-2T 터보 트래커로 전환했다. 이 외에도 Hemet Valley Flying Service, Marsh Aviation, Sis-Q Flying Service 등 여러 민간 업체에서 트래커를 운용했으며, Aero Union은 직접 운용뿐 아니라 1973년 캘리포니아 주를 위해 프로토타입 S-2 소방 항공기를 개발하기도 했다.[51]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애보츠포드의 Conair Group Inc.는 퇴역한 캐나다군 및 미군의 트래커를 다수 인수하여 동체 중앙부에 소방 탱크를 장착한 '''파이어캣(Firecat)'''으로 개조했다. 파이어캣은 기존 피스톤 엔진을 유지한 모델과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한 터보 파이어캣(Turbo Firecat) 두 가지 형태로 제작되었다. 코네어는 총 82대의 트래커를 인수하여 32대를 파이어캣으로, 13대(기존 파이어캣 9대 포함)를 터보 파이어캣으로 개조했다. 서스캐처원 환경부와 온타리오 천연 자원부 역시 개조된 트래커를 소방용으로 운용했으며, 온타리오에서 운용하던 기체는 이후 코네어에 매각되었다.[50]

  • '''프랑스''': 프랑스 Sécurité Civile은 캐나다 코네어 항공에서 제작한 파이어캣과 터보 파이어캣을 도입하여 소방 임무에 활용했다.

  • '''네덜란드''': KLM은 네덜란드 해군 항공대에서 퇴역한 트래커를 인수하여 정비사 훈련용으로 사용했다.


터키에서도 1990년대 후반 소방 항공기 도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퇴역한 S-2E를 터보프롭 엔진으로 개조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39] 터키 항공우주 산업(TAI) 주도로 프로토타입 1대가 개조되어[43] 1999년 산불 진화 및 1999년 이즈미트 지진 이후 발생한 튀프라쉬 이즈미트 정유 공장 화재 진압에 투입되기도 했으나,[40] 최대 15대까지 개조하려던 계획은 2002년 불분명한 이유로 취소되었다.[43][40]

6. 대한민국에서의 운용

대한민국은 1970년대부터 S-2 트래커를 도입하여 해상초계기 및 대잠전 전력으로 활용하였다. 도입 초기에는 공군이 운용하였으나, 1976년 해군으로 이관되었다. 총 31대의 S-2 트래커가 도입되어 동해와 서해, 남해 등 한반도 해역의 방위를 담당하였다.

S-2 트래커는 오랜 기간 한국 해군의 주력 해상초계기로 활약하였으나, 운용 후반기에는 기체의 노후화 문제가 지적되면서 보다 현대화된 해상 초계 능력 확보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러한 요구는 특히 당시 야당 등 정치권에서도 이어졌으며, 현대적인 해상초계기 도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결국 S-2 트래커는 2001년까지 운용된 후 퇴역하였으며, 그 임무는 보다 성능이 향상된 P-3C 오라이언 해상초계기가 이어받게 되었다.

6. 1. 퇴역과 P-3C 도입

미 해군에서는 1976년 8월 30일 S-2G형을 마지막 함대에 인도한 것을 끝으로, S-2 트래커를 점차 퇴역시키기 시작했다. S-2의 임무는 제트 엔진을 탑재한 록히드 S-3 바이킹으로 넘어갔으며, VS-37 비행중대가 이를 운용했다. 파생형인 C-1 트레이더와 E-1 트레이서는 각각 C-2 그레이하운드E-2 호크아이로 대체되었다.

미 해군에서 단계적으로 퇴역한 S-2 트래커의 잔여 기체 중 일부는 미국 정부에 의해 캘리포니아 삼림소방청(CDFFP)에서 산불 진화용으로 활용되었다. 이 기체들은 개릿 터보프롭 엔진으로 개조되는 등 꾸준히 개량되며 오늘날까지도 운용되고 있다. 실제로 일부 기체는 미군에서보다 캘리포니아 삼림소방청에서 더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브라질아르헨티나 등 다른 국가에서도 군용 및 민간용으로 계속 운용되고 있다.

7. 제원 (S-2F)

그러먼 S-2 트래커 도면


자료 출처: 캐나다 항공우주 박물관[27]

'''일반 제원'''

  • '''승조원:''' 4명 (조종사 2명, 탐지장비 통제사 2명)
  • '''길이:''' 13.26m
  • '''폭:''' 22.12m
  • '''높이:''' 5.33m
  • '''날개면적:''' 45.06m2
  • '''자체 중량:''' 8310kg
  • '''적재 중량:''' 10630kg
  • '''최대 이륙 중량:''' 11860kg
  • '''엔진:''' Wright R-1820-82WA 9기통 공랭식 왕복 엔진 2기 (각 1,525 마력)


'''성능'''

  • '''최대 속도:''' 450 km/h (해수면 기준)
  • '''순항 속도:''' 240 km/h
  • '''항속 거리:''' 2170km
  • '''체공 시간:''' 9시간
  • '''상승 한도:''' 6700m


'''무장'''

  • '''내부 무장창 (2개소):'''
  • * 어뢰: Mk. 41, Mk. 43, Mk. 34, Mk. 44, 또는 Mk. 46
  • * 폭뢰: Mk. 54
  • * 기뢰
  • '''외부 무장 (주익 하부 파일런 6개소):'''
  • * 어뢰
  • * 폭뢰
  • * 로켓

참조

[1] 서적 Francillon 1989, p. 351
[2] 서적 Sullivan 1990, p. 4
[3] 간행물 "Of Hosenoses, Stoofs, and Lefthanded Spad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1968-07
[4] 웹사이트 Grumman S-2 Tracker https://web.archive.[...] 2016-01-19
[5] 웹사이트 RAN Aircraft Hoisting – Changing Techniques https://www.navyhist[...] Naval Historical Society of Australia 2000-09
[6] 웹사이트 Grumman C-1 Trader / S-2 Tracker http://www.warbirdal[...] Warbird Alley 1952-12-04
[7] 웹사이트 Tracker History https://web.archive.[...] S2ftracker.com 1952-12-04
[8] 뉴스 The Seventies http://www.history.n[...] history.navy.mil 2010-06-15
[9] 웹사이트 Grumman S-2E/G Tracker https://www.navy.gov[...] 2022-07-06
[10] 웹사이트 "Grumman S2F / S-2 Trackers in service with the Argentina Navy." http://www.s2ftracke[...] Surviving Grumman S2F Tracker Information Repository 2010-06-15
[11] 웹사이트 "Escuadrilla Aeronaval Antisubmarina." http://www.instituto[...] institutoaeronaval.org 2010-06-15
[12] 웹사이트 "Pictorial and historical data" http://www.histarmar[...] histarmar.com.ar 2010-06-15
[13] Youtube "S-2 video." https://www.youtube.[...] 2010-06-15
[14] 웹사이트 La Armada Argentina contabiliza en año y medio solo 158 días de navegación y 52 horas de vuelo https://www.infodefe[...] 2023-06-20
[15] 웹사이트 Cooperación regional en acción: ejercicios combinados de la Armada Argentina https://www.infodefe[...] 2023-09-09
[16] 서적 Gillett 1987, p. 206
[17] 웹사이트 Grumman S-2E/G Tracker https://www.navy.gov[...] Royal Australian Navy 2010-02-27
[18] 서적 Francillon 1989, p. 367
[19] 웹사이트 Resurrected US Navy Traders to serve on Brazilian aircraft carrier http://defense-updat[...] www.defense-update.com 2014-12-23
[20] 뉴스 "Brazilian Traders set for modernisation." flightglobal.com 2011-12-14
[21] 웹사이트 Brazilian Navy restarts KC-2 Turbo Trader contract https://www.flightgl[...] 2014-11-17
[22] 웹사이트 LAAD 2019: Elbit Systems of America targets debut Brazil KC-2 flight https://www.janes.co[...] 2019-04-04
[23] 서적 Cummings 1988, pp. 180–182
[24] 서적 Taylor 1987
[25] 웹사이트 "de Haviland Grumman CP-121 Tracker." http://www.airforce.[...] airforce.forces.gc.ca 2012-11-19
[26] 서적 Cummings 1988, p. 182
[27] 웹사이트 "Grumman CS2F / CP-121 Tracker." http://www.aviation.[...] Canada Aviation and Space Museum 2009-03-22
[28] 웹사이트 Grumman CS2F/CP 121 Tracker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US Navy and US Marine Corps BuNos, Third Series (135774 to 140052) http://www.joebaughe[...] 2023-08-07
[30] 웹사이트 Grumman S-2 Tracker - History http://www.s2tracker[...] 2016-08-29
[31] 웹사이트 S-2 Website : Operators in past and present http://home.planet.n[...] 2016-08-29
[32] 웹사이트 Netherlands Naval Aviation Service http://www.aerofligh[...] Aeroflight.co.uk 2013-07-26
[33] 웹사이트 Netherlands Naval Aviation Service http://www.aerofligh[...] Aeroflight.co.uk 2013-07-26
[34] 웹사이트 KDoorman http://www.steelnavy[...] Steelnavy.com 2013-07-26
[35] 웹사이트 "Northrop Grumman S-2T Turbo Tracker." taiwanairpower.org 2008-10-19
[36] 웹사이트 The Airplane Graveyard - The Complete Story http://artofabandonm[...] 2016-08-30
[37] 웹사이트 Uruguay Museum or Outside Display S2F / S-2 Grumman Trackers. http://www.s2ftracke[...] 2010-08-23
[38] 간행물 Firefighting Aircraft Recognition Guide http://calfire.ca.go[...] Firefighting Aircraft 2014-10-08
[39] 웹사이트 Reklam Engelliyici https://www.sozcu.co[...] 2023-01-05
[40] 웹사이트 Fire Boss - Türkiye's S-2 Tracker Aerial Firefighter https://www.oryxspio[...] 2023-01-05
[41] 웹사이트 TPE331 Turboprop Engine https://aerospace.ho[...] 2023-01-05
[42] 웹사이트 Turkey S2F Trackers https://www.grummant[...] 2023-01-05
[43] 웹사이트 Reklam Engelliyici https://www.sozcu.co[...] 2023-01-05
[44] 웹사이트 Marsh S-2F3AT Turbo Tracker. http://registry.faa.[...] 2010-06-15
[45] 웹사이트 Argentina S2F Trackers http://www.s2ftracke[...] S2ftracker.com 2014-01-07
[46] 웹사이트 Radio Research Paper - Tracker In Canadian Service http://jproc.ca/rrp/[...] Jproc.ca 2014-01-07
[47] 웹사이트 Utility Squadron VU 32 http://www.canadianw[...] 2022-05-12
[48] 웹사이트 Italian Air Force Aircraft Types http://www.aerofligh[...] 2016-01-19
[49]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 Historical Listings Thailand (THL) http://www.worldairf[...] 2012-08-30
[50] 웹사이트 Grumman CS2F Tracker. http://www.bushplane[...] 2011-07-10
[51] 웹사이트 P2V Neptune. http://p2vneptune.co[...] 2010-06-15
[52] 뉴스 超低空の?訓練機海へ 一人が死に、二人不明 『朝日新聞』 1976-02-03
[53] 뉴스 구형 대잠초계기 S-2기 퇴역 https://news.kbs.co.[...] 200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